요즘에는 펀드보다 ETF가 더 인기가 많습니다.
자산운용사들도 각종 기초지수를 만들고 신제품을 출시하고 있다.
즉, 돈이 된다!
많은 사람들이 ETF를 선호하는 이유 중 하나는 “펀드에 비해 저렴한 수수료”입니다.
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산운용사 홈페이지에 나와 있는 수수료율만 비교하고 가입했을 텐데요. 뭐라고? 그냥 수수료 아닌가요?!
예 아니오. 대부분의 사람들은 투자원금에서 수수료율만 차감된다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더 있습니다.
수수료 외에 매년 추가적인 고정비가 발생하며, 일회성 판매수수료도 있습니다.
주인장도 수수료율만 비교하고 가입했는데, 정리를 해보니 착오였다는 걸 깨달았습니다.
수수료 외에도 추가 비용이 예상보다 컸습니다.
특히 장기투자자에게는 치명적이다.
열심히 일해서 벌어들인 소중한 돈을 투자하는 만큼, 가입 전 비용을 꼭 확인해야 하는 이유!
그럼 먼저 ETF의 수수료체계를 살펴보고 수수료+비용을 확인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.
나는 그것을 할 거 야. ETF 수수료 구조
ETF 수수료 구조는 “총 보상 + 비용 + 판매 수수료”로 구성됩니다.
조금 복잡해 보입니다.
국내 ETF 중 자산규모가 가장 큰 Kodex200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.
삼성자산운용 홈페이지에는 Kodex200 총 보상률이 0.150%로 나와 있습니다.
다만, 기타비용 및 증권거래비용은 제외됩니다.
자료: 삼성자산운용
투자설명서를 보면 기타비용은 0.0115%, 증권거래비용은 0.0185%이며, 판매수수료는 없습니다.
3개를 모두 합치면 총 수수료는 연간 0.18%, 즉 1억원을 투자했다면 매년 18만원을 내는 셈이다.
별 차이가 없다고 생각하실 수도 있습니다.
코스피200 기초자산을 추종하는 ETF는 치열한 경쟁으로 수익률이 낮고, 0.5%를 넘는 ETF도 많다.
연간 수익률을 5%로 가정하면 수수료가 높은 상품은 복리로 인해 비용도 증가하므로 무시할 수 없습니다.
자료: 삼성자산운용
ETF 수수료 + 비용 확인 방법
이번에는 ETF 총비용 확인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.
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.
① 투자설명서 각 자산운용사 홈페이지에 접속하여, 구매하고 싶은 상품을 검색하신 후, 투자설명서를 다운로드 받으세요. 그러면 앞서 표시된 수수료의 세부 현황을 중간쯤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.
업체에서 운영하기 때문에 아주 깔끔하게 정리되어 상품의 상세한 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입니다.
단점은 각 자산운용사를 찾아가서 검색해야 하는 불편함이다.
출처 : 삼성자산운용 ② 금융투자협회 둘째, 금융투자협회 홈페이지를 통해 자산운용사 전체의 보수를 한눈에 검색할 수 있습니다.
그에 비해 UI는 그다지 깔끔하지 않습니다.
각 자산운용사를 통해 찾아보는 것과는 장단점이 정반대다.
수수료를 조회하는 경로는 다음과 같습니다.
※ 경로 : 금융투자협회 > (상위 네비게이션) 전체메뉴 > 펀드 수수료 및 비용 > 펀드별 수수료 비교 출처 : 한국금융투자협회에서 미래에셋 TIGER200 IT레버리지를 검색했습니다.
웹사이트. 보수는 0.69%, 기타비용은 0.04%, 판매/중개수수료율은 0.328%로 1%가 넘는 수수료를 받고 있다.
출처 : 한국금융투자협회 이상으로 ETF 수수료 관련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.
본 포스팅을 통해 ETF 수수료 체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되셨기를 바랍니다.
그리고 이제는 증권사 홈페이지에 나와 있는 보상 총액만 보기보다는 비용을 확인하고 구매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.
그럼 오늘도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🙂 PS 이 포스팅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이미지나 URL을 눌러주세요. 제 팬이 되시려면 클릭해주세요^^ ☞ 팬 바로가기 : https://in.naver.com/lifehack #ETF수수료 #ETF보상 #ETF총보상 #ETF비용